• 2024. 4. 15.

    by. BAMSA

     

     

    이란 vs 이스라엘 전쟁 이유

     

     

     

     

     

     

     

     

     

    1. 개요

     

    이란 이스라엘 사이에 대리분쟁을 말한다. 오늘날의 중동에서 이란과 이스라엘의 분쟁은 앞으로 아랍국가들과 이란과의 분쟁, 특히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 분쟁의 영향력을 가져오게 될 것이다.

     

     

     

     

     

     

     

    2. 발달

     

    이란의 팔레비 왕조 때만해도 이스라엘과 이란은 관계가 좋은 편이였다. 당시 이란은 오늘날과 달리 친미성향에다 세속주의를 추구하였으며 이스라엘이 주로 분쟁하는 시리아와 팔레스타인은 수니파 이슬람 위주였기에 이란은 수니파 위주 이슬람 집단인 아랍연맹과 사이가 좋지 않아서 이란은 오히려 중동전쟁에서 이스라엘에게 무기를 판매하였으며 석유도 공급해줄 정도로 사이가 꽤나 좋았다.

    그 이후 4차 중동전쟁에서 미국이 이스라엘과 국경을 접댄 국가들에서 이집트와 요르단을 이스라엘과 평화협정을 맺으나 레바논, 시리아, 팔레스타인은 평화협정을 맺지 않았으며, 이것이 양국간 갈등의 원인이다. 1979년 이란 혁명으로 정권이 바뀌면서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가 집권하고, 이란은 반미로 돌아서고 이스라엘과 인접국가에서 중동전쟁의 평화조약을 맺지 않은 팔레스타인, 레바논, 시리아에게 군사를 지원함에 따라 아에 이들은 서로 흔적도 남기지 않는 그림자 전쟁을 하며 대리전 갈등을 형성하는 중이다.

     

     

     

     

     

    3. 현재 상황

     

    • 이스라엘의 주시리아 이란영사관 공습 : 2024년 4월 1일, 이스라엘이 시리아 내 이란 영사관을 공습했다. 이란은 보복을 예고했다.
    • 진실의 약속 작전 : 2024년 4월 13일, 이란이 이스라엘을 공습했다.

     

     

     

     

     

     

     

     

     

     

    이란 vs 이스라엘 군사력 비교

     

     

     

    2024년 기준, 이란과 이스라엘의 군사력을 종합적으로 비교한 순위는 단일 기관에서 제공하지 않지만, 각 국가의 주요 군사력 요소들을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병력 규모는 이란은 약 50여만 명, 이스라엘은 약 80여만 명이다.

     

    탱크와 전투기, 함정대, 국방예산 등의 정확한 수치는 밝힐 수 없으나 엇비슷하다. 다만 이란은 주로 구형 무기를 다루는 반면, 이스라엘은 현대형 무기를 다루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 예산도 양국이 약 200억달러가 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국방기술력은 구형과 신형으로 나눠진다.

     

    이란은 최근 몇 년 동안 군사 기술 발전에 투자를 늘리고 있지만, 여전히 선진국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스라엘은 미국과 긴밀한 군사 협력 관계를 통해 최첨단 군사 기술을 도입하고 있으며, 사이버 전쟁 능력도 강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리적 위치는 이란의 경우 중동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변 국가들과의 관계가 복잡하다.

     

    이스라엘은 중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변 국가들과의 관계는 긴장 상태다.

     

    병력 규모, 주요 무기 보유량, 국방 예산 측면에서 이스라엘이 이란보다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란은 지리적 위치, 최근 군사 기술 발전 투자, 비대칭 전략 등을 통해 이스라엘에 대항하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군사력 비교는 단순히 양적인 비교만으로는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렵다. 국가의 군사력은 병력 규모, 무기 보유량, 국방 예산뿐만 아니라, 기술력, 지도력, 국민의 사기 등 다양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