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 4. 23.

    by. BAMSA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 발급 방법

     

     

     

     

     

     

     

     

     

     

     

     

     

     

     

     

     

     

     

     

     

    은행 업무를 보거나 이직을 할 때, 그 외의 건강보험 자격 취득 및 상실 이력을 증빙해야 할 때 제출하는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

    인터넷을 보다 보면 누구는 3분 만에 발급할 수 있다 하고 또 다른 누구는 더 빨리 뽑는 것도 가능하다 말하길래 정말 짧은 시간 안에 출력하는 것이 가능할까 싶어 인터넷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토대로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 발급 방법을 직접 따라 해봤다.

    먼저 발급 유형은 크게 네 가지 정도로 구분할 수 있었다.

     

     

     

     

     

     

     

     

     

     

     

     

     

     

    1. 인터넷
    2. 무인발급기
    3. 모바일
    4. 주민센터 방문 ( 동사무소 內 무인발급기O, 사람X ) 주민센터 갔는데 기계에서 때라고 했다 ㅠㅠ 기계 지문 인식 최고 헬  난이도 13회 실패

     

     

    대표적인 방법은 인터넷과 모바일 이용이겠지만 출퇴근 길에 무인발급기가 있는 분들은 길 가다 기기를 이용해 발급하셔도 되고 회사나 집 근처에 주민센터가 있다면 방문을 통해 쉽게 뽑을 수 있으니 편한 방법을 이용하면 될 듯하다.

    이 외에도 전국 건강보험공단 지사 방문, ARS를 이용한 팩스 방법이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라겠다.

    아무튼 나는 많은 방법 중 인터넷을 이용했고 발급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다.

     

     

     

     

     

     

     

     

     

     

     

    먼저 국민건강보험 공단 홈페이지에 들어가 본인 인증을 진행한 후 방문자별 맞춤 메뉴에서 자격득실 확인서를 클릭했다.

     

     

     

     

     

     

     

     

     

    이후 주민등록번호 표시 여부, 조건을 선택한 후 조회를 눌러보면 본인이 설정한 조건에 맞는 건강보험 자격 취득 및 상실 내역을 모두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조회 조건은 은행, 행정 기관, 기업 등 제출 기관에 따라 상이하니 문의 후 발급하는 걸 권유 드린다.

     

     

     

     

     

     

     

    자격 내역을 확인해 보면 위와 같이 프린트 발급, 팩스 전송, 전자 증명서 버튼이 있는데 나는 프린트 발급을 선택했다.

     

     

     

     

     

     

     

     

     

     

     

     

    그럼 이렇게 암호 처리된 PDF 파일이 하나 생성될 텐데 파일의 비밀번호는 본인 생년월일이니 참고하시길 바라겠다.

    여기까지 왔다면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 발급은 모두 끝이 난다. PDF 파일을 그대로 제출해도 되고 메일로 옮겨 도서관이나 PC방, 무인 인쇄소를 방문해 프린트해도 상관없음.

     

     

     

     

     

     

     

     

     

     

     

     

    여기까지가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 발급 방법을 직접 따라 해본 후기였는데 나는 사진 편집, 글을 쓰면서 발급했기 때문에 15~20분 정도 소요됐지만 본인 인증 수단만 있다면 정말 3분 안에 발급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해 보였다.

    건강보험 공단에 들어간 후 본인 인증만 진행하면 어렵지 않게 뽑을 수 있었으니 말이다.

    다만, 앞서 말했던 것처럼 인터넷을 이용하는 방법 외에도 모바일, ARS, 팩스, 주민센터 및 공단 지사 방문 등을 통해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를 발급할 수 있으니 본인에게 편한 방법을 골라 발급하시길 바라겠다.